전체 글12 자바의정석 - 예외처리(Excepption handling) 예외처리(Exception handling)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오류 3가지 컴파일 에러(compile-time error) : 컴파일러(javac)가 자바코드를 컴파일시 발생하는 에러 런타임 에러(runtime error) : 프로그램 실행중 발생한 에러 논리적 에러(logical erro) : 작성 의도와 다르게 동작하는 것 자바 컴파일러의 역할 - 구문체크 - 번역 - 최적화 Java의 런타임 에러 에러(error) :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서 수습될 수 없는 심각한 오류 예외(exception) : 프로그램 코드에 의해서 수습될 수 있는 다소 미약한 오류 (개발자가 프로그램의 비정상 종료를 막을 수 있다.) 예외처리의 정의와 목적 예외처리 정의 : 프로그램 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예외의 발생에 .. 2021. 12. 22. 자바의정석 - 객체지향개념2 상속(ingeritance) 상속이란 기존의 클래스를 재사용하여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하는 것 상속의 장점 보다 적은 양의 코드로 새로운 클래스를 작성할 수 있고 코드를 공통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. 코드의 추가 및 변경이 매우 용이하다 상속 방법 새로 작성하고자 하는 클래스의 이름 뒤에 상속받고자 하는 클래스의 이름을 키워드'extends'와 함께 써주면 된다. class Child extends Parent { } 이 두 클래스는 서로 상속 관계에 있다고 하며, 상속해주는 클래스를 '조상 클래스'라 하고, 상속 받는 클래스를 '자손 클래스'라고 한다. 조상 클래스 : 부모 클래스, 상위 클래스, 기반 클래스 자손 클래스 : 자식 클래스, 하위 클래스, 파생된 클래스 자손 클래스는 조상 클래스의 모든 멤버.. 2021. 12. 19. 자바의 정석 - 객체지향개념 1 객제치향 언어 1980년대 초 소프트웨어의 위기 - 빠른 변화를 못쫓아감 해결책으로 객체지향 언어를 도입 (절차적 -> 객체지향) 코드의 재사용성이 높고 유지보수가 용이 (중복코드 제거) 객체지향 언어 = 프로그래밍 언어 + 객체지향 개념(규칙) 객체지향 언어 핵심개념 ( Object-Oriented-Programming) 1. 캡슐화 2. 상속 3. 추상화 4. 다형성 객체지향 개념은 어떻게 공부해야 하나요? 객체지향 언어 = 프로그래밍 언어 + 객체지향개념(규칙) -> 외울것. 외우라는 말이 무책임하다고 할 수 있지만, 규칙을 알아야 게임도 즐기는 것처럼 코딩도 할 수 있다. 자바의 정석은 최소한의 핵심을 정리한것,, 자바의 정석을 공부한 뒤에는 JSP, Spring 으로 실습위주로 가야한다. 클래스.. 2021. 12. 16. 자바의 정석 - 배열(Array) 배열(Array) 배열이란? - 같은 타입의 여러 변수를 하나의 묶음으로 다루는 것 배열을 왜 사용할까? - 만약 1만개의 숫자를 저장하기 위해서 1만개의 int형 배열을 선언한다고 생각하면 머리가 아플것이다. 이런 경우에 배열을 사용하면 많은 양의 데이터를 손쉽게 다룰 수 있다. 더보기 Q: 배열은 같은 타입의 데이터만 묶을 수 있다, 그렇다면 다른 타입의 변수들을 묶으려면 어떻게 해야할까? -> 클래스를 사용한다. 배열 예제 한 한급의 시험점수를 저장하려고 한다. 학생 5명의 점수를 저장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5개의 변수를 선언해야 한다. int score1, score2, score3, score4, score5; 변수 5번 선언하는 대신 배열을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간단히 처리할 수 있다. 변.. 2021. 12. 14. 이전 1 2 3 다음